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룰루 밀러

긍적적 착각

  1. 긍정적 착각을 통한 “매우 장기적 목표”에 도달하게 해주는 힘 그릿
  2. 긍정적 착각이 가지고 있는 오류에 관한 연구에 대해 이야기 하며, 긍정적 착각이 자기 과시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공동체 안에서 불리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
  3. 작가는 긍정적 착각이라는 것을 본질적으로 찾고 균형을 맞추려 한 것이 아닐까

엉킨 실타래, 제 꼬리를 먹는 우로보로스, 복수를 하겠다고 나무로 기어 올라갔지만 높이 뜬 독수리라는 진실에 얻어 맞고 나가떨어진 파란 꼬리의 스킹크

  1. 자아 성장의 감정이라고 생각된다.
  2.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 본인의 믿음이 세상에 부정당하는 감정
  3. 결국 이런 감정을 통해 작가는 ‘민들레 법칙’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이 아닌가.

민들레 법칙

  1. 나는 이 법칙이 인생의 진리라 생각한다. 이 법칙은 누군가 예수를 만났다거나, 해탈을 해 깨달음을 얻었다는 그것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모든것의 균형을 찾아 자아와 현실의 괴리감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본인을 진심으로 사랑할 수 있게 되는 마인드 셋.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1. 자아와 현실의 괴리를 벗어나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2. 인간은 모두 다른 자아를 가지고 있다. 작지만 모두에게 현실의 괴리감의 감정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고,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자아를 사랑할 수 있게 되는 때 깨달음이라는 것을 얻는다.
  3. 물고기는 존재하지만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두 사실을 모두 받아들일 수 있을 때 진정한 인생의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 아닐까

생각

  1. 표현 이라는 것의 한계. ‘물고기’라는 표현은 결국 본인이 ‘물고기’라는 물질을 이해한 것을 다른사람에게 알려주기 위한 하나의 방법.
  2. 모든 단어들은 그렇다.
  3. 모든 단어는 각자, 개개인의 자아가 느끼는 의미가 다르다.